19세기 후반 영국의 도시계획가인 하워드(Ebenezer Howard)가 처음 제안한 전원도시(Garden City) 개념은 도시의 과밀과 악화되는 생활 조건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 방식입니다. 하워드의 비전은 도시와 농촌 생활의 이점을 결합하여 도시 주변으로 넓은 농업지역을 만들어 자립형 도시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이 도시모형은 빠르게 산업화되는 도시에 더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대안을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 전원도시의 개념

전원도시의 개념은 19세기 영국 산업화의 가혹한 현실에 대한 해결책을 고민하는 과정에서 탄생했습니다. 공장에서 일자리를 구하는 사람들의 유입으로 인하여 도시가 급속히 팽창하면서 도시지역은 과밀화되고 오염되었으며 사회 문제가 만연해졌습니다. 이러한 산업도시에서 삶은 녹지 공간에 대한 제한적인 접근과 적절한 인프라가 부족하여 지속적으로 악화되었습니다. 이러한 도시의 문제에 대해 깊은 우려를 갖고 있던 하워드는 도시와 시골 생활의 장점을 모두 결합한 새로운 유형의 도시모형을 구상했습니다. 하워드의 아이디어는 1898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Tomorrow:A Peaceful Path to Social Reform"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습니다. 1902년 "Garden Cities of Tomorrow"로 재출간된 이 책에서 하워드는 다음과 같이 제안했습니다. 3만 명에서 5만 명의 인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자족적인 도시를 건설합니다. 이들 도시는 영구적인 농경지로 둘러싸여 도시 지역이 시골 지역을 잠식하지 않도록 보장할 것입니다. 도시의 배치는 주거, 산업, 농업기능을 포함하여 신중하게 계획되었습니다. 하워드의 비전은 단순한 물리적 계획이 아니었습니다. 또한 보다 공정한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사회 경제적인 요소도 포함되었습니다. 하워드의 전원도시 개념이 실제로 적용된 첫 번째 사례는 1903년 레치워스 가든 시티(Letchworth Garden City)가 설립된 것이고, 이어서 1920년 웰윈 가든 시티(Welwyn Garden City)가 설립된 것입니다. 이 도시들은 하워드의 원칙에 따라 주거, 산업, 농업기능에 중점을 두고 설계되었습니다. 레치워스 가든 시티와 웰윈 가든 시티의 설립을 통해 전원도시가 어떻게 구현되는지에 대한 선구적인 사례가 되었습니다.

 

■ 주요 계획기법

전원도시는 전통적인 도시개발 모델과 구별되는 몇 가지 계획기법을 기반으로 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기법은 자급자족입니다. 전원도시는 주민들이 장거리 통근이 필요 없이 일하고, 즐길 수 있는 자립형 도시로 설계되었습니다. 이는 도시 내 주거, 산업, 상업 지역을 세심하게 배치하여 필요한 모든 편의 시설과 서비스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통근의 필요성을 줄임으로써 전원도시는 주민들에게 보다 지속 가능하고 편리한 생활 방식을 장려하였습니다. 전원도시의 또 다른 계획기법은 녹지 공간입니다. 하워드는 자연에 대한 접근이 도시 거주자에게 필수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처럼 전원도시에는 공원, 정원 등이 풍부하게 조성되어 주민들에게 야외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도시를 둘러싼 녹지대는 도시의 무질서한 확장을 방지하고 농업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주민들이 자연환경과 지속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보장하였습니다. 이러한 녹지공간은 미적 매력을 높일 뿐만 아니라 주민의 건강과 정서함양에도 기여합니다. 인프라의 및 토지의 소유권과 사회적 형평성은 전원도시의 핵심 기법입니다. 하워드는 전원도시의 토지와 자원을 지역사회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개발로 발생한 수익이 개인 토지 소유자에게 분배되기보다는 지역사회에 재투자되도록 하였습니다. 이 방식은 모든 주민이 개발의 혜택을 공유하는 공평한 커뮤니티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또한 전원도시는 모든 주민의 요구를 충족하도록 설계된 학교, 의료시설, 문화시설 등의 제공을 통해 사회적 결속을 장려했습니다.

 

■ 기존도시 및 현대적 적용

전원도시 개발방식은 도시계획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세계의 수많은 도시개발에 영감을 주었습니다. 자급자족, 녹지 공간의 통합, 사회적 형평성 등 전원도시 개념의 기법은 다양한 도시의 현실에 맞추어 조정되었습니다. 교외지역 개발, 신도시조성, 심지어 도시 전체의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영국에서는 20세기 중반 뉴타운 운동이 전원도시 원칙에 크게 의존하여 밀턴 케인즈(Milton Keynes)와 할로우(Harlow)와 같은 녹지 공간, 복합 용도 개발, 지역 사회 복지에 중점을 맞춘 도시 건설로 이어졌습니다. 세계적으로 전원도시 개념은 미국, 일본, 중국 등 다양한 국가의 도시계획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에서는 래드번(Radburn), 그린벨트(Greenbelt)와 같은 계획된 커뮤니티 개발에서 전원도시 개발방식의 영향을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은 전원도시 모델의 핵심 기법을 반영하여 녹지 공간, 커뮤니티 시설을 강조하여 설계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세계 도시들이 도시화에 대한 지속 가능한 대안을 모색함에 따라 전원도시 개념이 다시 나타났습니다. 소규모의 친환경적이며 자급자족할 수 있는 지역사회를 만든다는 아이디어는 탄소 배출량 감소, 삶의 질 향상, 사회적 통합 촉진이라는 현대 사회의 도시계획 목표와 일치합니다. 전원도시 개념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은 재생 가능한 에너지, 폐기물 감소 및 보행친화적 교통 옵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도시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21세기 도시화의 과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하워드의 전원도시는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줍니다.